[데일리한국 신지연 기자] 2014년 10월 경북 청도군. 고성이씨 문중의 한 무덤을 옮기는 과정에서 회곽묘(灰槨墓)가 확인됐다.

회곽묘는 땅을 판 뒤 석회층을 만들고 그 안에 관이나 곽을 안치하는 형태다. 관 안에는 누비저고리에 도포, 적삼, 한삼, 버선 등을 갖춘 ‘청도 미라’ 시신이 발견됐다.

외관 및 내관 수습 모습 . 사진=국립대구박물관 제공
외관 및 내관 수습 모습 . 사진=국립대구박물관 제공

10일 국립대구박물관이 펴낸 '경상북도 청도군 고성이씨 이징 묘 출토 복식'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무덤의 주인은 고성이씨 도사공의 후손인 이징(1580∼1642)이라는 인물로 파악됐다.

무덤 안 피장자가 입고 있었던 의복을 수습하는 과정에서 묵서가 발견되었는데 정대영 학예연구사는 보존 처리한 묵서를 분석한 뒤 '조선국 경상좌도 청도군 북쪽의 수야리에 거주하는 경진년(1580년)생 이징은 임오년(1642년) 11월 초6일 임신 일에 사망했다'고 해석했다.

유해는 발견된 후 바로 밀봉돼 서울대 의과대학으로 이송됐다. 이후 컴퓨터단층촬영(CT) 검사, 디옥시리보핵산(DNA) 분석, 안정성 동위원소 분석 등을 거쳤다.

목관의 뚜껑을 분리한 모습. 사진=국립대구박물관 제공
목관의 뚜껑을 분리한 모습. 사진=국립대구박물관 제공

경희대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 홍종하 교수는 보고서에 실은 논고에서 "미라 상태에서의 신장은 165.1㎝"라며 "조선시대 일반적인 남성보다 큰 키에 영양 상태는 양호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징이 과거 먹었던 음식, 앓았던 병의 흔적도 유해에 남아있었다. CT 검사 결과 간으로 추정되는 부위에서 발견된 가로 22.75㎜, 세로 23.06㎜ 크기의 종괴가 발견됐다. 연구진은 폐흡충이 간에 침입해 발육한 것으로 보고, 피장자가 이소폐흡충증을 앓은 것으로 추정했다.

피장자에게 입힌 습의. 사진=국립대구박물관 제공
피장자에게 입힌 습의. 사진=국립대구박물관 제공

피장자가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돼 있었던 사실도 조사 과정에서 확인됐다.

홍 교수는 "피장자는 총 4종의 기생충에 감염됐는데, 조선시대 사람 중 절반 이상이 감염되어 있었던 토양매개성 기생충과 더불어 폐흡충과 간흡충에도 감염돼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점은 피장자가 생전에 농작물 외에도 민물고기가 가재 등 민물 갑각류를 날 것으로 섭취했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보고서에는 무덤에서 출토된 유물 117점을 보존 처리하고 분석한 결과도 담겼다. 보고서는 박물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한국아이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