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신지연 기자]  만성적인 외로움은 뇌의 구조와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퇴행성 신경질환의 발병 위험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다.

9일 뉴욕타임스(NYT)는 외로움이 동료애를 추구하도록 하는 스트레스 신호의 독특한 형태일 수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런 외로움이 만성적으로 되면 스트레스 반응이 고착돼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해당 매체에 따르면 위스콘신 메디슨대학의 애너 핀리 박사는 일시적인 외로움은 사회적 관계 형성에 대한 욕구를 불러일으키지만, 만성적인 외로움은 사회적 위협이나 고립될 수 있다는 신호에 적응하게 만들어, 타인과의 교류를 꺼리거나 두려워하게 하는 역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외로운 사람들은 자신을 향한 부정적인 사회적 단어와 감정 표현에 과민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

만성적인 외로움은 사회 인지, 자각, 감정 처리에 중요한 뇌 영역에서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아직 외로움이 뇌의 구조와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외로움이 불러온 스트레스 반응이 면역체계를 활성화와 염증성 화학물질을 증가시키는 것이 확인됐으며,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신경세포를 손상시켜 뇌 건강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실제 외로움이 알츠하이머, 다른 종류의 치매, 파킨슨병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오고 있다.

매사추세츠 브리검 여성병원의 낸시 도너번 박사는 외로움을 많이 느끼는 사람일수록 인지 하락 징후가 나타나기 전부터 알츠하이머 유발인자인 아밀로이드와 타우 단백질이 많이 검출됐다고 밝혀냈다.

또한 노년층에서 외로움이 불러오는 스트레스와 염증이 신경변성질환의 발생과 악화를 불러올 가능성이 크며, 외로움이 심혈관계에 영향을 줘 혈압과 심박수 상승을 불러오고 뇌에도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한국아이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