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성격의 행사 연이어 개최...'원전 생태계 복원'이 명분

산업부와 한전이 동해안~수도권 송전망 건설을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5일 파악됐다. 사진은 효성중공업이 제주에 설치한 전압형 HVDC 전력변환설비의 모습. 사진=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산업부와 한전이 동해안~수도권 송전망 건설을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5일 파악됐다. 사진은 효성중공업이 제주에 설치한 전압형 HVDC 전력변환설비의 모습. 사진=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력이 동해안 전력망 확충을 위해 노심초사하고 있다. 같은 성격의 행사를 연이어 개최하며 지지부진한 송전망 개설 시기를 앞당기려 노력하고 있다.

산업부는 5일 강원특별자치도, 경상북도, 한전, 전력거래소와 함께 ‘동해안 지역 전력계통 협의회’를 개최했다.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이 현안을 공유하고 지역 맞춤형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다. 이날 협의회를 지난 3월 광주·전남에 이어 2번째 개최했다.

현 정부는 원전생태계 복원을 기치로 동해안에 위치한 신한울 1·2호기에서 생산한 전력을 신가평까지 송전해 용인반도체클러스터에 공급할 계획이다. 그런데 송전선로가 산사면을 따라 태백산맥을 넘나드는 모습에 반대하는 주민과 환경단체의 반대에 부딪쳐 계획을 실현하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 보니 동해안의 석탄발전과 원전은 송전선로 부족으로 발전제약을 감당하고 있다. 산업부와 한전은 2008년 이후 공사진척이 없던 동해안~수도권 송전선로 건설을 작년 재개했다. 올해 2월 송전선로 11개 구간을 2026년까지 준공할 계획이다.

이날 산업부는 자자체에 전력망 인허가에 대해 협조를 요청했다. 송전탑을 설치하기 위해선 진입로, 작업장 부지의 산지일시사용허가와 개발행위허가를 지자체에서 얻어야하기 때문이다.

한전은 전날 4일 서울에서 미래전력망 포럼을 개최했다. 이 포럼에 전력망을 적기에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을 담았다. 아울러 전력시장 세분화 등 전력산업의 변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전력계통 거버넌스 정립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특히 국가기간전력망 확충특별법을 조속히 제정하자고 제안했다.

한전의 서철수 전력계통본부장은 “전력망 적기 확충이 국가 에너지 안보 구현, 첨단산업 육성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말해 송전망 개설에 대한 한전의 절박한 심정을 간접적으로 드러냈다.

한전은 송전망사업이 핵심사업이다. 발전자회사를 계열사로 갖고 있지만 송전망사업이 주업이다. 전체 수익의 90% 이상을 전력판매에서 거두며 이를 위한 송변전설비의 확충과 관리운영 업무가 일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물론 동해안~수도권 송전선로 건설이 일정대로 진행되지 않더라도 한전은 대안이 있다. 이미 북당진~고덕 초고압직류송전선로(HVDC)를 성공적으로 구축해 서해안에서 전력을 끌어오면 되기 때문이다. 전력선을 마련할 때 2개를 확충해 비상시를 대비하는 일은 전력산업계의 상식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업부와 한전은 동해안~수도권 송전선로 건설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이 선로는 현 정부 에너지정책의 상징과도 같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한국아이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